라벨이 고차단포장인 게시물 표시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5 AL(알루미늄)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AL은 연포장에 사용되는 유일한 금속 필름 입니다. 금속 결합으로 인해 분자 간 결합 밀도가 극도로 높아, OTR(산소 투과도)과 WVTR(수분 투과도)이 모두 0에 수렴 합니다. 이 글에서는 AL의 제조 방식, 차단 특성, 디자인·환경 이슈, 그리고 실무 적용 시 고려할 점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AL 필름의 제조와 핀홀 이슈 압연 공정으로 두께 6㎛ ~ 12㎛ 제작 극도로 얇고 고차단성이나, 압연 중 핀홀(Pinhole) 이 발생하면 차단성 저하 핀홀 발생 빈도는 두께와 롤 품질 에 따라 달라짐 일반 고분자 필름에 비해 우레탄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떨어짐.(무용제 사용 불가, 용제형으로 도포량 증가시켜 라미네이션 진행) 📌 디자인적·시각적 특징 AL은 은색 광택의 완전 불투명 재질로, 내부가 보이지 않아 보호성 우수 합니다. 하지만 투명 패키지 트렌드 에는 부합하지 않아 제품 디자인 전략에 영향을 미칩니다. 📌 환경·재활용 이슈 순수 AL은 재활용성이 우수하나, 연포장 다층 구조에서는 고분자와 라미네이션 되어 소재 분리·재활용이 사실상 불가능 유럽 등에서는 AL 사용을 제한 중 대체 기술로 Alox, SiOx 증착을 통한 투명 증착 PET 활용 확대 📌 실무 적용 사례 레토르트 파우치: PET + AL + NY + CPP 살균·고온 처리 제품 외면층 장기 보관·산소·수분 민감 식품 (견과류, 커피 등) 📌 AL 필름의 장·단점 요약 장점: 완벽에 가까운 차단성, 내부 은폐 단점: 핀홀 취약, 불투명, 고비용, 재활용 어려움 💼 실무 Tip 알루미늄은 차단성 하나만큼은 타의 추종 불허 합니다. 하지만 핀홀 관리, 디자인 제약, 재활용 이슈가 뚜렷하므로 고온·장기 보관 제품에 한정 해 사용하고, 환경과 디자인 모두 고려한다면 Alox/Siox 증착 기술 로 대체 설...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4 PET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연포장 외면층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기능 필름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PET 필름의 분자 구조 특성, 차단 성능, 가공 특성, 그리고 무기 증착 기술을 활용한 고차단 응용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PET는 어떤 소재인가? PET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계열의 고분자 필름 으로,  내열성, 인쇄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하여 외면층 필름 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NY보다는 극성이 약한 편 이지만, 여전히 수분과 상호작용하는 성질(흡습성) 이 있으며, 이로 인해 WVTR(수분 투과도) 측면에서는 완전한 차단 성능은 아님 을 고려해야 합니다. 📌 PET의 차단 특성 WVTR: 약 50g/㎡·day 수준 → 수분 차단성 거의 없음 OTR: 약 100cc/㎡·day 수준 → 산소 차단성은 어느 정도 확보 WVTR 수치상으로 보면 차단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CPP나 LLDPE 등과 합지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 NY과 비교하면 차단 성능은 낮은 편 입니다. 📌 PET의 장점과 실무 활용성 광택도 우수 : 인쇄 표현에 유리 두께 평활도 뛰어남 : 고속 인쇄에 적합 스티프니스(Stiffness) 우수 : 진열 시 형태 유지에 강점 내열성 우수 : 고온 라미, 살균 제품 외면층에 적합 이러한 특성으로 PET는 식품 포장 외면층에서 가장 균형 잡힌 성능을 가진 필름 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인쇄성, 디자인성, 형태 유지력 에서 강점을 보이며, 브랜드 제품 패키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단점 및 한계 내충격성 부족 : 냉동 환경에서 파손 우려 있음 NY에 비해 유연성 부족 : 충격과 굴곡에 약함 이로 인해 냉동 포장이나 고충격 환경에서는 NY를 대체하기 어렵다 는 한계도 존재합니다. 📌 무기 증착 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