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드라이라미네이션인 게시물 표시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1.4 구성 요소 보충 설명

이미지
연포장지는 단순히 '비닐'로 불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 요소와 공정 을 통해 만들어지는 복합 시스템입니다. 이 글에서는 필름, 인쇄, 합지, 가공의 4단계 구성 요소와 R2R 공정, 포장 형태 및 자동/수동 가공 방식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 연포장지의 주요 구성 요소 연포장지는 일반적으로 다음 4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① 필름 : 고분자 소재, 연신/무연신 여부 ② 인쇄 : 제품 정보와 시각적 완성도 부여 ③ 합지 : 기능성 부여를 위한 다층 구조 구현 ④ 가공 : 형태 제작 및 납품 방식 (자동/수동) 이 모든 공정은 Roll to Roll (R2R) 방식으로 연속 생산되며,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구조 입니다. 📌 필름의 이해: 소재와 특성 연포장지의 시작은 필름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필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PET, NY, BOPP, CPP, LLDPE, LDPE, AL, EVOH 등 이 중 AL을 제외한 모든 소재는 열가소성 고분자 입니다. 고분자는 분자 구조가 비정형(Amorphous) 또는 반결정성(Semi-crystalline)이며, 결정 구조의 차이 에 따라 물성이 달라집니다. 필름은 연신(Oriented) 과 무연신(Non-oriented) 으로 나뉘며, 제조 방식에 따라 기능이 달라집니다. 연신 필름: 압출 후 당김/stretching 공정 진행 (예: BOPP, BOPA) 무연신 필름: 압출 후 별도 연신 없이 냉각 및 권취 (예: CPP, LLDPE) 📌 인쇄 방식: 시각적 완성과 정보 전달 인쇄는 제품의 외관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그라비어 인쇄 오목판(동판)에 잉크를 담아 전사하는 방식 색상당 1판 필요 (4도, 6도, 8도 등) 국내 식품 포장에서 가장 많이 쓰임 ✅ 플렉소 인쇄 볼록판을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