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PP인 게시물 표시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1 PP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연포장지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재 중 하나는 바로 PP(Polypropylene) 입니다. 이 글에서는 PP 필름의 종류, 물성, 원료 구조에 따른 특성 차이, 그리고 식품 포장에서의 활용까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합니다. 📌 PP란 무엇인가? PP는 프로필렌(Propylene) 이라는 비극성 분자 로 이루어진 고분자입니다. 그 성분 구조로 인해 내수성, 내화학성, 유연성 이 우수하며, 필름화 시에는 열에 의해 용융 상태로 압출되어 연신 여부에 따라 OPP 또는 CPP 로 나뉘게 됩니다. *IPP(Inflation Polypropylene)이라는 투명성이 극대화된 PP도 있습니다. 이것은 두께 평활도가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많이 사용되진 않습니다. 📌 OPP와 CPP의 차이 ✅ OPP (Oriented Polypropylene) 이축 연신(Biaxially Oriented) 필름 내구성이 높고, 인쇄성과 강성(Stiffness) 우수 연신 시 필름이 늘어나며 조직이 정렬되어 표면이 매끄럽고 선명함 ✅ CPP (Cast Polypropylene) 무연신 필름 (Cast 방식으로 제조) 유연하고, 내충격성, 실링성 우수 내열성은 상대적으로 낮고, 강성은 떨어짐 👉 보통 OPP는 외면층, CPP는 내면층(실링층) 으로 구성되어 함께 사용됩니다. 📌 원료 구조에 따른 PP의 분류 PP는 공중합 방식, 러버 혼합비율, 모노머 구조 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Homo PP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단일 모노머로 구성 → 결정성이 높아 강성이 뛰어남 Random PP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 + 소량의 에틸렌 공중합 → 투명성이 우수하고 유연성 강화 Block PP (블록 공중합체): 결정성과 무정형 영역이 분리된 구조 → 내충격성 우수, 산업용 포장에 적합 Ter PP...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1.3 다층 구조(복합 포장)

이미지
식품 포장지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구조는 바로 다층 구조(복합 포장) 입니다. 이 글에서는 합지 방식, 필름 조합 사례, 구조별 특성까지 실무자가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다층 포장지란? 다층 포장지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필름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방식으로 합지 하여 만든 구조입니다. 각 필름이 고유의 기능(인쇄성, 차단성, 내열성 등)을 수행하며, 최종 용도에 따라 필름 수나 조합이 달라집니다. 📌 왜 다층 구조가 필요한가? 단일 필름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필름을 조합하여 시너지 효과 를 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용물의 특성과 유통 환경(온도, 습도, 유통기한 등)을 고려하여 설계합니다. 📌 주요 외면층(1급지) 필름: 인쇄성과 내열성 외면층은 인쇄성, 외관성, 내열성 이 중요하며, 주로 연신 필름(Oriented Film) 이 사용됩니다. PET: 내열성 우수, 인쇄성 우수, 스티프니스(강성) 우수 NY (Nylon): 내충격성, 내열성 우수, 산소 차단성 중간 BOPP: 인쇄성 우수, 유연한 가공성 📌 필름 구성 예시와 적용 사례 ✅ 2층 구조 (간단 포장 / 단기 보관 식품) BOPP + CPP → 예: 편의점 빵 포장 NY + LLDPE → 예: 냉동 만두 포장 PET + LLDPE → 예: 물티슈 포장 ✅ 3층 이상 구조 (차단 기능 필요 / 고온 처리 / 장기 보관) NY + LDPE + LLDPE → 고내충격 + 씰링 강화 (예: 일부 냉동식품) PET + AL + NY + CPP → 레토르트 파우치 - PET: 인쇄성 - AL: 산소, 수분 차단 - NY: 내열성 보완(내충격성) - CPP: 실링층 (고온 안정) 📌 다층 구조 설계 시 고려 사항 🔹 내용물의 성질 (기름기, 수분, 변질 가능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