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3.3 산소 차단성(Oxygen Barrier)

산소 차단성은 포장 내 산소 유입을 최소화하여 제품 산패 및 변질 을 막는 핵심 물성입니다. 분자 구조의 결정도, 극성·비극성 특성, 산소 분자 크기 등이 차단 성능 구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산소 차단성의 이론적 배경, ASTM D3985 측정법, 주요 소재별 차단 수치, 그리고 친환경 고차단 트렌드 까지 살펴보겠습니다. 📌 산소 차단성의 이론적 배경 결정도(Crystallinity): 결정 영역이 많을수록 기체 투과 경로가 감소 극성 vs 비극성: 극성 고분자는 산소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차단성↑ 산소 분자 크기: 작은 분자는 비결정·매트릭스 영역을 통과하기 쉬움 📌 ASTM D3985 산소 투과도 측정법 ASTM D3985 방법을 사용하여, 23℃·RH 0% 조건에서 포장지를 고정 후 한쪽은 질소(N₂), 다른 쪽은 산소(O₂) 흐름을 주입합니다. 측정 원리: 산소가 N₂ 측면으로 얼마나 투과되는지(cc/m²·day) 측정 결과 단위: cc/m²·day (24시간 기준) 시료 폭: 표준 50 mm 이상, 두께 기록 필수 📌 주요 소재별 산소 차단 수치 소재 OTR(cc/m²·day) 비고 AL(알루미늄 호일) 0 완벽 차단 PVA ≤1 단독 필름 가능 EVOH ≤2 두께에 따라 0.1~2 Alox/Siox 증착 PET ≤1 투명 고차단 PVDC (ProTego기준) ≤2 종이 코팅 증착 알루미늄 필름 ≈10 금속박 라미네이션 NY(BOPA) ≈50 단일·공압출 PET ≈100 외면층 PP/PE ≥1000 차단성 낮음 📌 친환경 투명 고차단 트렌드 최근에는 투명하면서도 고차단을 실현하는 Alox(Al₂O₃)·SiOx 증착 방식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단일 재질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