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3.3 산소 차단성(Oxygen Barrier)

이미지
산소 차단성은 포장 내 산소 유입을 최소화하여 제품 산패 및 변질 을 막는 핵심 물성입니다. 분자 구조의 결정도, 극성·비극성 특성, 산소 분자 크기 등이 차단 성능 구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산소 차단성의 이론적 배경, ASTM D3985 측정법, 주요 소재별 차단 수치, 그리고 친환경 고차단 트렌드 까지 살펴보겠습니다. 📌 산소 차단성의 이론적 배경 결정도(Crystallinity): 결정 영역이 많을수록 기체 투과 경로가 감소 극성 vs 비극성: 극성 고분자는 산소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차단성↑ 산소 분자 크기: 작은 분자는 비결정·매트릭스 영역을 통과하기 쉬움 📌 ASTM D3985 산소 투과도 측정법 ASTM D3985 방법을 사용하여, 23℃·RH 0% 조건에서 포장지를 고정 후 한쪽은 질소(N₂), 다른 쪽은 산소(O₂) 흐름을 주입합니다. 측정 원리: 산소가 N₂ 측면으로 얼마나 투과되는지(cc/m²·day) 측정 결과 단위: cc/m²·day (24시간 기준) 시료 폭: 표준 50 mm 이상, 두께 기록 필수 📌 주요 소재별 산소 차단 수치 소재 OTR(cc/m²·day) 비고 AL(알루미늄 호일) 0 완벽 차단 PVA ≤1 단독 필름 가능 EVOH ≤2 두께에 따라 0.1~2 Alox/Siox 증착 PET ≤1 투명 고차단 PVDC (ProTego기준) ≤2 종이 코팅 증착 알루미늄 필름 ≈10 금속박 라미네이션 NY(BOPA) ≈50 단일·공압출 PET ≈100 외면층 PP/PE ≥1000 차단성 낮음 📌 친환경 투명 고차단 트렌드 최근에는 투명하면서도 고차단을 실현하는 Alox(Al₂O₃)·SiOx 증착 방식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단일 재질 구조 ...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3.2 마찰계수(Friction Coefficient)와 슬립제 처방

이미지
포장지의 마찰계수 는 가공 안정성, 권취 품질, 내용물 보호에 직결되는 핵심 물성입니다. 정마찰(static friction)과 동마찰(dynamic friction)이 있으며, 실무에서는 주로  동마찰계수 를 중점 관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동마찰계수의 이론적 배경, 슬립제(slip agent) 처방과 슬립제의 이탈·흡수 현상, 파우더 처리법, 과·저마찰 시 가공 이슈와 대응 방안을 토큰 가득 채워 살펴보겠습니다. 📌 마찰계수의 이론적 배경 정마찰계수(Static μ):  접촉 시작 전 저항값 동마찰계수(Dynamic μ):  접촉 후 움직임 중 저항값 대부분의 연포장 공정에서는  롤 표면과 필름 간, 필름 간 이동 이 빈번하므로  동마찰계수 가 가공 안정성의 핵심 지표가 됩니다. 📌 슬립제 처방과 마찰계수 제어 내면층(씰링층) 필름:  CPP, LLDPE 등에 소량 슬립제 혼합 슬립제 이탈:  시간 경과 및 고온에서 표면으로 Migration 접착제 흡수:  라미네이션 공정 시 접착제가 슬립제를 흡수하며 마찰 변화 이러한 현상을 고려해  슬립제 종류·함량·분산 을 최적화해야 가공 시 적절한 동마찰계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파우더 처리법(Powder Treatment) 슬립제 소진 또는 과경화 시  표면 마찰계수↑  → 가공 Scratch, Blocking 발생 파우더(식용 기준) 코팅으로  인위적 슬립 부여 파우더 비말이 내용물에 닿을 수 있어  외관 클레임  가능 파우더 처방량과 종류를 협의하여, 가공 안정성과 최종 제품 외관 간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 과·저마찰 시 가공 이슈 과도한 슬립(μ < 0.1):  권취 시 필름 미끄러짐 → 인쇄 핀트 미스, 충진 에러 과도한 그립(μ > 0.3):  롤 장력 불균일 → 스트레스 크랙, 스크래치 발생 예시: 김 포장지처럼 가벼운 내용물은 일부러 마...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3.1 열접착성(Heat Sealing)과 실링 조건

이미지
열접착성은 연포장지 가공의 핵심 물성 중 하나로, 포장지의 형태를 완성하는 ‘실링 공정’의 성공 여부를 좌우합니다. 이 글에서는 씰바(seal bar) 접촉면의 비가열부와 내면층의 용융부를 동시에 구현하는 원리, 소재 배치 전략, 실링 강도 측정법 , 그리고 다양한 실링 방식 비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열접착(Heat Sealing)의 기본 원리 Seal Bar(씰바): 씰링 온도·압력·시간을 제어하는 금속 바 비가열부(Non-Melt Zone): 외면층 소재가 견디는 영역 용융부(Melt Zone): 내면층 소재가 녹아 접착되는 영역 열전달: 외부 열이 내면층까지 전달되어 용융·접착이 일어남 📌 1급지 vs 씰링층 소재 배치 전략 외면층(1급지): PET, OPP, NY → 내열성·강성·인쇄성 우수, 씰바 접촉 시 변형 없어야 함 씰링층(Sealing Layer): LLDPE, CPP, EVA → 저용융점·우수한 실링성·유연성 보유, 씰바 열에 녹아 접착 역할 예시: PET(외면) + LLDPE(내면) 구조는 외관과 인쇄성을 유지하면서 빠르고 견고한 실링을 가능케 합니다. 📌 실링 강도 측정 방법 인장 시험(Tensile Test): 실링부위 양쪽을 15mm 폭 시편으로 집어 일정 속도(200 mm/min)로 당겨 파단 시의 힘을 측정 열경사 시험기(Heat Seal Tester):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실링 강도를 측정, 최적 실링 온도의 범위와 안정성 파악 대부분의 식품 포장 실무에서는 속도 200 mm/min, 시편 폭 15 mm를 표준으로 온도별 실링 강도를 측정, 포장재별 씰링 온도 차이를 바탕으로 공정 조건을 설정합니다. 📌 다양한 실링 방식 비교 Heat Seal (히트씰): 씰바 직접 가열  장점: 범용적, 저비용 단점: 외면층 변형, 느린 사이클 타임 I...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6 EVOH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EVOH(Ethylene Vinyl Alcohol)는 친수성(수분에 끌리는) OH기 를 가진 공중합체로, 연포장지의 핵심 고차단 소재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EVOH의 분자 구조, 가스 차단성, 적용 방식(단독·공압출), 실무 활용 사례와 비용·설계 관점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EVOH 분자 구조와 물성 특징 공중합체 구조: 에틸렌과 비닐 알코올이 결합 OH기(하이드록실기) 존재: 분자 간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기체 차단성 우수 친수성: 수분에는 약해 수분 차단성은 거의 없음 따라서 WVTR 은 높지만, OTR 은 두께에 따라 1g/㎡·day 수준까지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 EVOH 단독 필름 vs 공압출 필름 ✅ 단독 압출 필름 일본 시장: 햇반·즉석밥 포장에 단독 압출 형태로 사용 단독으로도 높은 가스 차단성 제공 ✅ 공압출(Co-Extruded) 필름 COP 라고도 불리며, 여러 재질과 결합해 다층 구조로 압출 대표 적용: 닭가슴살·육가공류 진공 포장 차단성이 중요할 때만 사용, 비용 절감을 위해 일반적으로 NY 공압출 필름 을 대체제로 선택 📌 EVOH 실무 적용 포인트 고가 소재: 차단 요구 수준에 맞춰 최소 두께 로 설계 수분 흡수 방지: 필름으로 적용 시  외·내면에 수분 차단층(PET, CPP 등)과 조합 필요 단일 재질 리사이클: EVOH 함량 낮춰 단일 PE 또는 PP 재활용 구조와 병행 설계 가능 (대다수 공압출 필름은 PE/EVOH/PE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 📌 장·단점 요약 장점: 최고 수준의 기체 차단성, VAC 포장 적합 단점: 수분 차단 불가, 고비용 💼 실무 Tip EVOH는 기체 차단이 핵심인 고기능 포장 에 필수적입니다. 단독 필름으로 쓰는 경우에는  외면·내면의 수분 차단층 을 반드시 조합해야합니다. ...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5 AL(알루미늄)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AL은 연포장에 사용되는 유일한 금속 필름 입니다. 금속 결합으로 인해 분자 간 결합 밀도가 극도로 높아, OTR(산소 투과도)과 WVTR(수분 투과도)이 모두 0에 수렴 합니다. 이 글에서는 AL의 제조 방식, 차단 특성, 디자인·환경 이슈, 그리고 실무 적용 시 고려할 점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AL 필름의 제조와 핀홀 이슈 압연 공정으로 두께 6㎛ ~ 12㎛ 제작 극도로 얇고 고차단성이나, 압연 중 핀홀(Pinhole) 이 발생하면 차단성 저하 핀홀 발생 빈도는 두께와 롤 품질 에 따라 달라짐 일반 고분자 필름에 비해 우레탄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떨어짐.(무용제 사용 불가, 용제형으로 도포량 증가시켜 라미네이션 진행) 📌 디자인적·시각적 특징 AL은 은색 광택의 완전 불투명 재질로, 내부가 보이지 않아 보호성 우수 합니다. 하지만 투명 패키지 트렌드 에는 부합하지 않아 제품 디자인 전략에 영향을 미칩니다. 📌 환경·재활용 이슈 순수 AL은 재활용성이 우수하나, 연포장 다층 구조에서는 고분자와 라미네이션 되어 소재 분리·재활용이 사실상 불가능 유럽 등에서는 AL 사용을 제한 중 대체 기술로 Alox, SiOx 증착을 통한 투명 증착 PET 활용 확대 📌 실무 적용 사례 레토르트 파우치: PET + AL + NY + CPP 살균·고온 처리 제품 외면층 장기 보관·산소·수분 민감 식품 (견과류, 커피 등) 📌 AL 필름의 장·단점 요약 장점: 완벽에 가까운 차단성, 내부 은폐 단점: 핀홀 취약, 불투명, 고비용, 재활용 어려움 💼 실무 Tip 알루미늄은 차단성 하나만큼은 타의 추종 불허 합니다. 하지만 핀홀 관리, 디자인 제약, 재활용 이슈가 뚜렷하므로 고온·장기 보관 제품에 한정 해 사용하고, 환경과 디자인 모두 고려한다면 Alox/Siox 증착 기술 로 대체 설...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4 PET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연포장 외면층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기능 필름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PET 필름의 분자 구조 특성, 차단 성능, 가공 특성, 그리고 무기 증착 기술을 활용한 고차단 응용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PET는 어떤 소재인가? PET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계열의 고분자 필름 으로,  내열성, 인쇄성, 강성(Stiffness)이 우수하여 외면층 필름 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NY보다는 극성이 약한 편 이지만, 여전히 수분과 상호작용하는 성질(흡습성) 이 있으며, 이로 인해 WVTR(수분 투과도) 측면에서는 완전한 차단 성능은 아님 을 고려해야 합니다. 📌 PET의 차단 특성 WVTR: 약 50g/㎡·day 수준 → 수분 차단성 거의 없음 OTR: 약 100cc/㎡·day 수준 → 산소 차단성은 어느 정도 확보 WVTR 수치상으로 보면 차단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CPP나 LLDPE 등과 합지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단, NY과 비교하면 차단 성능은 낮은 편 입니다. 📌 PET의 장점과 실무 활용성 광택도 우수 : 인쇄 표현에 유리 두께 평활도 뛰어남 : 고속 인쇄에 적합 스티프니스(Stiffness) 우수 : 진열 시 형태 유지에 강점 내열성 우수 : 고온 라미, 살균 제품 외면층에 적합 이러한 특성으로 PET는 식품 포장 외면층에서 가장 균형 잡힌 성능을 가진 필름 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인쇄성, 디자인성, 형태 유지력 에서 강점을 보이며, 브랜드 제품 패키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단점 및 한계 내충격성 부족 : 냉동 환경에서 파손 우려 있음 NY에 비해 유연성 부족 : 충격과 굴곡에 약함 이로 인해 냉동 포장이나 고충격 환경에서는 NY를 대체하기 어렵다 는 한계도 존재합니다. 📌 무기 증착 PE...

식품업계 실무자를 위한 연포장지 구조 입문 가이드 - 2.3 NY(BOPA) 필름의 특성과 용도

이미지
NY 필름, 즉 BOPA(Biaxially Oriented Polyamide) 는 식품 포장 필름 중에서도 내충격성, 내한성, 산소차단성 을 고루 갖춘 고기능 필름입니다. 이 글에서는 NY이 '나일론'으로 불리는 이유부터 시작해, BOPA의 분자 구조적 특성, 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 왜 NY은 '나일론'이라 불리는가? BOPA는 Polyamide(폴리아마이드) 계열의 고분자 필름으로, 나일론 섬유와 같은 계열이기 때문에 포장 업계에서는 관습적으로 NY(Nylon) 이라 부릅니다. 즉, NY 필름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옷감용 나일론'과 같은 원료 기반이며, 내구성, 인장강도, 내열성 등에서 섬유와 유사한 특성 을 보입니다. 📌 NY(BOPA)의 물성 특성과 기능 BOPA는 이축 연신 필름 으로, 필름의 두 방향으로 늘려 구조를 정렬시킨 고강도 필름입니다. 극성 물질 : 분자 간 수소결합 형성 → 강한 인장강도 흡습성 존재 : 수분을 흡수해 물성 변화 발생 산소 차단성: OTR 약 50cc/㎡·day 이하 내충격성 우수 : 냉동 충격, 낙하 등에 강함 내한성 우수 : –40℃ 환경에서도 취성 감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냉동식품, 고온 살균 제품(레토르트), 파우치류 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실무에서의 주의사항 NY 필름은 물성은 우수하지만 공정에서 다루기 까다로운 특성 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열에 민감: 높은 온도에서 수축 이 발생할 수 있음 텐션에 민감: 장력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 존재 → 인쇄, 라미네이션 시 세심한 장력 제어와 온도 설정 이 필수 또한, BOPA는 타 소재에 비해 원단 가격이 높아 제품 단가에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재활용 관점에서도 PP, PE에 비해 단일재질 설계가 어려운 점 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 NY 필름의 식...